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펫버킷] petbucket 고양이 애드보킷 구매 (vpn 없이 접속하기) 여름이 되면 늘 두려운게 있다. 바로 우리 아이들이 모기에 물리지 않을까 하는 것. 집고양이들은 사실 산책할 일이 거의 없으니, 진드기나 벼룩 걱정은 안되는데 혹여나 모기에 물릴까봐, 그리고 혹여나 그로인해 심장사상충에 걸릴까봐 걱정된다. 이제 본격적으로 더워지려고 하는데, 며칠 전 남편이 집에서 모기에 물렸다고 하기에 ㅠ 얼른 애드보킷을 주문했다. 전에는 동물병원에서 샀었지만, 펫버킷을 알게된 이후로는 여기에서만 주문한다. 가격차이가 거의 2배 수준으로 나기 때문. 펫버킷에 접속하려고 하면 유해사이트(?)라고 해서 주소가 바뀌기 일쑤였고 vpn을 이용해서 접속하는 상황도 있었는데 이제는 영구적으로 접속 가능한 주소가 생겼다고 한다. .. 더보기 한국인이 많이 헷갈리는 단어: call to me? call me? "call" 완전 정복 왜 우리는 call 처럼 쉬운 단어도 말로 하려고 하면 헷갈릴까요? 저는 그 이유가 "단어만 외우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늘 학생분들께 "짧은 문장을 외우라"고 강조했었죠. - 걔가 날 불렀어 - 걔가 나한테 전화했어 - ### 이 번호로 나한테 전화해 - 걔가 내 욕을 했어 위 문장 모두에 call을 쓸 수 있다는 사실, 아시나여? 아신다면, 모두 정확히 영어로 말하실 수 있나여? 이 포스팅을 보고 난 후에는 하실 수 있습니다!!!! 먼저, 1. "부르다/전화하다" = call + 사람 - 나한테 전화해! ---> call me! - 날 사과라고 불러줘 ---> call me "사과". - 걔가 내 이름을 불렀어 ---> He called my name. 2. A를 욕하다 ---> call .. 더보기 [IAU] iShares Gold Trust 단수주대금 우리 부부의 주식 포트폴리오는 로우 리스크 로우 리턴. ㅋㅋㅋㅋㅋ 믿을만한 분의 조언을 따라 올웨더 포트폴리오를 구성했고, ETF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IAU Gold trust. 저번달이었나, 5주를 추가하려고 하는데 주식 병합 예정이라 짝수로만 매수 가능하다고 하기에 6주를 샀던 기억이 있고 그대로 까먹고 있었다. 그런데 며칠 전 단수주대금이라며 USD 18.12 가 입금되었길래, 도대체 단수주대금이 무엇인가 궁금해서 찾아보았다. 일단 주식 병합의 경우, 2주를 1주로 만든 것이고, "단수주대금"이란 홀수 단위로 보유하고 있던 주식에 대해서 그 평가 금액만큼을 돌려주는 것. .. 더보기 [약수역 맛집] 찐 수타면 "손수타" 지난 주말 약수역 및 옥수역 근방 임장을 하기 위해 동생을 만났다. 동생이 중식 먹고 싶다는데, 잘 모르는 동네에 갈 때는 역근처에 있는 음식점을 찾는걸 선호해서 가게 된 "손수타". 짜장면 2개를 주문했다. 근데 사장님이 정말로 수타면을 만드시는 게 아닌가; ㅋㅋㅋㅋ 내가 세상에 대한 믿음이 너무 없나. 식당 이름이 손수타여도 그냥 그런가보다 했더니, 정말 주문 들어오면 수타로 면을 만드시나보다. 그리고 나온 짜장면. 일반 짜장보다 면이 얇고 부드러웠다. 다 .. 더보기 증여재산 공제액에 미달하는 경우에도 증여세를 신고해야 할까? 지난번에는 자칫 잘못하면 증여로 간주될 수 있는 가족 간 금전거래(금전대차)에 대해서 작성했었는데요, 이번에는 "찐 증여"의 경우 신고 의무에 대해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https://sunkissed.tistory.com/51 제53조(증여재산 공제) 거주자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으로부터 증여를 받은 경우에는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 금액을 증여세 과세가액에서 공제한다. 이 경우 수증자를 기준으로 그 증여를 받기 전 10년 이내에 공제받은 금액과 해당 증여가액에서 공제받을 금액을 합친 금액이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 금액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그 초과하는 부분은 공제하지 아니한다. 1. 배우자로부터 증여를 받은 경우: 6억원.. 더보기 [관세사 시험] 2013-2020년 2차 기출문제 위 파일을 다운받아서 압축을 푸시면, 아래처럼 연도별 2차시험 기출문제가 들어있습니다. (2013-2020년) 최근 연도에 가까워질수록 각 과목에서는 질문이 보다 구체적이고, 점수를 안분해 놓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특히 관세평가 과목에서는 문제 지문의 길이가 상당히 길어졌죠. 그만큼 시간이 갈수록 수험생들의 실력이 좋아지고 경쟁이 치열하다는 반증입니다. 이렇게까지 세분화 해놓지 않으면 합격자와 불합격자의 경계가 모호해질테니까요. 2차 시험에서 평균 1-2점으로 떨어지는 것은 사실 아쉬운 일은 아닙니다. 평균이기 때문에 4과목으로 환산해보면 총 6-8점 차이가 나는 것이고요, 이건 합격자가 10점짜리 문제 기준.. 더보기 [관세사] 관세사가 하는 일 & 관세사 시험 무역 관련 업계에 종사하시는 분이라면 관세사라는 직업이 친숙하게 느껴지실지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수출입과 별로 관계 없는 많은 개인들은 "관세사"라는 직업을 굉장히 낯설어합니다. 관세사라고 하면 "관제사"로 이해하거나, 혹은 그와 비슷한 무언가라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계시고 뭔지는 모르겠지만 모른다고 말하기도 민망하니 그냥 끄덕이고 지나가는 분들도 많습니다. 그러면 도대체 "관세사"는 무슨 일을 하는 사람일까요? ▶ 관세사 제도 관세사는 관세와 무역에 관한 국내유일의 국가전문자격사로서 화주로부터 의뢰를 받아 관세사의 직무 즉 관세사법 제2조의 통관업무를 수행합니다. 국가는 관세사 시험에 합격한 사람에게 관세사 자격을 부여하며, 관세사 자격.. 더보기 한국인이 많이 헷갈리는 단어: funny vs fun 뭐가 다르죠? Funny와 fun은 전혀 다른 뜻이라는 걸 아시나요? 이 둘을 같은 뜻으로 생각하거나, 정확히 어떻게 다른 건지 모르는 분들이 많습니다. 잘못 써도 대충 뜻은 전달이 되겠지만 영어를 잘 한다는 느낌을 주기는 어렵습니다. 그럼 하나씩 살펴볼게요. 1. funny = humorous funny는 한마디로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입니다. 농담이 웃길 때, 코미디언이 웃길 때, 친구 때문에 빵 터졌을 때를 떠올리시면 됩니다. 이럴 때는 He is so funny! ㅋㅋㅋㅋㅋㅋ (He is so humorous) 라고 할 수 있어요. 2. fun = interesting, enjoyable 반면 fun 은, "즐거운" 이라는 뜻이고 아래와 같이 쓸 수 있어요. Learning Englis..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 10 다음 목록 더보기